본문 바로가기

컴퓨터구조 운영체제

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

정보 단위

  • 비트(Bit):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입니다.
    예: 전구가 켜지면 1, 꺼지면 0
  • 바이트(Byte): 8비트를 하나로 묶은 단위로, 256가지(2⁸) 정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  • 킬로바이트(KB): 1,000바이트를 의미합니다.
  • 메가바이트(MB): 1,000킬로바이트입니다.
  • 기가바이트(GB): 1,000메가바이트입니다.
  • 테라바이트(TB): 1,000기가바이트입니다.

⚠️ 실제로는 1KB = 1024B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,
블로그나 일반적인 개념 설명에서는 1KB = 1,000B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

이진법 (Binary)

  • 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0과 1로 표현합니다. 이 방식을 이진법이라 하며, 표현된 숫자를 이진수(Binary Number)라고 합니다.

  • 예:

    • 1 → 1
    • 2 → 10
    • 3 → 11
    • 4 → 100
  • 컴퓨터에서는 숫자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구분하기 위해 부호 비트(플래그 비트)를 사용합니다.

  • 음수 표현 방식으로는 2의 보수(two's complement) 방식을 사용합니다.

    • 2의 보수란: 모든 비트를 반전하고 1을 더하는 방식입니다.

십육진법 (Hexadecimal)

  • 16진법은 0부터 15까지 총 16개의 수를 한 자리로 표현하는 숫자 체계입니다.
  • 10부터는 알파벳으로 표현합니다:
    • 10 → A, 11 → B, 12 → C, 13 → D, 14 → E, 15 → F
  • 이진수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.
    • 이진수 4자리 = 16진수 1자리
    • 예:
      • 이진수 1111 = 10진수 15 = 16진수 F

참고

  • 이진법과 16진법은 컴퓨터 내부 표현 방식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.
  • 예: 색상코드(#FF5733), 메모리 주소(0x7ff1234) 등에서 16진수 사용

'컴퓨터구조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  (3) 2025.07.15